2) 자기관리와 인지 행동수정
행동주의 심리학자가 자기조절 혹은 자기관리와 인지적 행동수정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는 고전적 행동주의 방법으로 교육받은 학습자가 학습을 새로운 상황에 거의 일반화하지 않기 때문이다. 학습에 대한 행동주의 심리학자의 주된 관심사는 ‘자기관리’다. 자기관리는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에 대해 통제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학습의 책임과 능력이 학습자에게 있기 때문에 학습자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자기관리를 통해서 학습자 자신이 학습에 대한 통제감을 가져야 한다.
인지행동수정이란 인지 이론과 행동주의 이론의 조화를 통해 행동을 수정하는 방법이라 볼 수 있다. 인지행동수정은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하며 이상적 행동을 치료하는 데 신념, 기대, 태도, 귀인 및 인지적 활동이 중심적 역할을 한다는 입장을 취한다. Meichenbaum(1997)은 과제를 하면서 스스로 계속 말하게 함으로써 충동적인 학습자를 성공적으로 가르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인지행동수정’을 통해 학습자가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하였다. 자기관리의 단계와 인지행동수정과 자기 교수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자기관리
자기관리는 일반적으로 학습자가 행동 변화 프로그램의 기본 단계에 개입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교육의 목표가 개인 모두가 자신을 교육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라면, 학습자는 자기 삶 관리, 목표 설정 그리고 자기 자신에게 강화를 제공하는 것을 학습해야 한다. 우리의 삶은 자기관리를 요구하는 많은 종류의 과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삶의 모든 부분에서 자기관리가 필요하다. 학습자는 자신의 어떤 행동 변화를 실시하는 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떤 단계에 속해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 위해서 목표를 세우고, 자기 일을 관찰하고, 기록을 보존하고, 수행·평가할 수 있도록 학습자를 돕는 것이다.
① 목표 설정
자기관리에서 목표 설정은 매우 중요하다. 어떤 연구에서는 구체적 목표를 설정하고 공식화하는 것이 자기관리 프로그램의 결정적 요소가 될 수 있다고 한다. Hayes와 그의 동료는 학습에 심각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학습 목표를 어떻게 세우는지 가르쳤다. 목표를 설정한 후 실험자에게 목표를 말했던 학습자는 목표를 혼자 정하고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았던 학습자보다 시험 결과가 더 좋았다. 이러한 연구는 목표를 설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설정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자신과 타인에게 공언하여 실행하는 것도 중요함을 시사한다.
② 진행의 기록과 평가
자기관리를 위한 목표 설정을 한 후에는 행동 변화 프로그램에 대한 기록과 평가가 뒤따른다. 진행 기록 카드는 학습자에게 과제를 작은 단계로 나누고, 그 단계를 완성할 수 있는 최선의 순서를 정해준다. 그리고 매일의 결과를 기록함으로써 날마다 진행되는 과정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진행 기록 카드는 촉진제의 역할을 하는데, 여기에 표시한 것은 나중에 지울 수 있다.
자기 기록은 과제나 기술을 연습하는 데 걸린 시간, 읽은 책의 수, 허락 없이 자리에서 이탈한 횟수 등을 기록하는 것이다. 과제나 개인 공부와 같이 교사의 감독 없이 완성해야 하는 일이 자기 감독에 좋은 것이다. 이것은 자기 평가의 질에 대해 판단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한 자기 기록보다는 어렵다. Morgan(1985)은 교육 심리학 과목에서 모든 사범대학 학생에게 자기 감독 전략을 가르쳤다. 그 결과 교육 심리학의 각 학습 단원에 대해 구체적인 단기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향한 진행을 감독하였던 학습자는 단순히 공부 시간만을 감독한 학습자보다 뛰어났다. 공부 시간만을 감독한 학습자가 전체 진행을 감독하였던 학습자보다 공부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이는 목표를 설정하고 진행하는 과정의 한 부분인 공부 시간만을 감독하는 것보다 목표를 향한 전체 진행을 감독하는 것이 목표에 도달하는 데 훨씬 성공적임을 시사한다.
③ 자기강화
자기강화는 자기관리의 마지막 단계다. 그러나 이 단계가 필요한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어떤 심리학자는 첫 번째 단계인 목표 설정과 두 번째 단계인 진행과 기록의 평가 그리고 감독만으로도 충분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자기강화가 결과에 아무 보탬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반면에 어떤 학자는 단순히 목표를 설정하고 진행을 기록하는 정도에서 끝내는 것보다는 잘한 일에 대해 자신을 보상하는 것이 더 높은 수준의 수행을 가져올 수 있다고 한다.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자기강화가 높은 수행을 이끌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보탬이 되지 않는다고 자기강화를 자기관리의 단계에서 삭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적용을 달리할 수 있다.
(2) 인지행동 수정과 자기 교수
인지행동 수정은 혼잣말과 자기 교수를 사용함으로써 자기 자기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행동주의적 원리와 인지적 행동 원리에 기반을 둔 절차다. 인지 행동 수정은 각 단계에서 혼잣말과 사고의 강조를 첨가한다. 이 때문에 많은 심리학자가 행동주의 접근보다 인지행동 수정이 더 인지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자기 교수는 한 과제의 단계를 통해 자신에게 말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아동이 사적 언어를 사용하는 과제를 통해 자신을 이끄는 것처럼 보이는 인지발달의 한 단계가 있다. 아동은 자기 자신과 말하고 종종 부모나 교사의 말을 따라서 반복하기도 한다. 인지행동 수정에서 학습자는 자기 교수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직접 배운다.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 심리(17) 사회학습이론-반두라 Bandura의 사회 학습 이론 (0) | 2023.03.06 |
---|---|
교육 심리(16) 행동주의적 관점-스키너 Skinner의 조작적 조건 형성 (0) | 2023.03.04 |
교육 심리(15) 학습-행동주의적 관점-파블로프 Pavlov의 고전적 조건 형성 (0) | 2023.03.03 |
교육 심리(14) 도덕성 발달-콜버그 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이론 (0) | 2023.03.02 |
교육 심리(13) 도덕성 발달-피아제 Piaget의 도덕성 발달 이론 (0) | 2023.03.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