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교육 심리(4) 피아제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

by 북코스타 2023. 2. 22.

(3) 구체적 조작기
 구체적 조작기는 7~11세경의 시기를 말한다. 이 단계는 논리적으로 사고할 수는 있지만 아동이 직접 관찰할 수 있는 구체적 사실이나 사물을 다루는 경우에만 한정되기 때문에 구체적 조작기라 한다. 이 시기에는 타인의 감정이나 관점을 고려할 수 있는 조망 수용 능력을 획득함으로써 탈중심화가 이루어지고, 가역적 사고가 가능해지며, 수나 양, 질량, 길이, 부피 등에 관한 보존 개념이 획득된다. 
 또한 이 시기에는 분류 개념이 획득되므로 부분과 전체의 관계, 하위 유목과 상위 유목 간의 위계적 관계를 이해하여 전체는 부분보다 많고 상위 유목은 하위 유목보다 많다는 것을 알게 된다. 예를 들어, 아동에게 빨간 유리구슬 7개와 노란 유리구슬 5개를 보여 주고, "빨간 유리구슬이 더 많니, 유리구슬이 더 많니?"라고 물어보면 전조작기의 아동은 빨간 유리구슬이 더 많다고 대답하지만, 구체적 조작기의 아동은 유리구슬이 더 많다고 대답한다. 
 구체적 조작기에 획득되는 또 다른 논리적 사고는 길이, 부피, 무게 등 사물의 속성에 따라 순서 짓는 서열 조작이다. 서열 조작은 한 가지 속성에 따라 사물을 순서 짓는 단순 서열화와 두 가지 이상의 속성에 따라 순서 짓는 다중 서열화가 모두 가능하다. 

(4) 형식적 조작기
 피아제 Piaget는 11~12세경에 시작하여 이후의 성인기까지를 인지발달의 마지막 단계인 형식적 조작기로 명명하고 있다. 이 시기에는 구체적이거나 실재적인 것에 얽매이지 않고 추상적으로 사고할 수 있다. 즉, 가설을 세워 체계적으로 검증하여 일반화할 수 있고, 사고 속에서 시행착오를 통하여 과오를 바로잡아 갈 수 있다. 
 형식적 조작기에는 가설 연역적 사고가 가능하다. 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설을 세울 수 있고 연역적 사고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조작기 수준이나 구체적 조작기 수준의 아동에게 "만약 사람이 날아다닐 수 있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라고 묻는다면, "사람은 하늘을 날 수 없어요."라고 대답할 것이다. 그러나 형식적 조작기 수준의 학생이라면 '도로와 집의 모습이 달라진다.' '도시의 모습이 달라진다.' '운동경기의 방식과 규칙이 달라질 것이다.' 등의 다양한 추론을 구사할 수 있다. 
 또한 형식적 조작기 수준의 학생은 조합적 사고를 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문제에 대해 모든 가능한 해결방안을 논리적으로 추론해 봄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고다. 

3) 피아제 Piaget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피아제 Piaget 이론은 수업에 대해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피아제 Piaget에 의하면, 발달이란 지적인 성숙이나 외적인 교육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아동 스스로 능동적인 행동을 통해 보다 분화되고 포괄적인 인지구조를 세워나가는 구축과정이다. 따라서 학습은 교사에 의해 수동적으로 주입되는 것이 아니라 아동 스스로 능동적인 발견의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아동이 자발적이고 주도적으로 과제를 해결하는 활동 과정을 경험해야 한다.
 피아제 Piaget 이론은 지식의 양을 증대시키기보다는 아동의 사고 능력을 길러주는 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따라서 교사는 수업 장면에서 아동이 불평형 상태에 놓이도록 질문이나 관찰학습 등을 통해 아동의 인지 갈등을 유발해야 한다. 
 또한 아동이 타인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야 한다. 아동에게 가장 바람직한 사회적 상호작용은 수평 관계에 있는 또래와 어울리면서 느낄 수 있는 동등성이다. '옳은' 답을 이미 알고 있는 권위자에 의해 지배받는다고 느끼는 한, 아동은 관점의 차이에 제대로 주목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또래와 상호 작용하는 아동은 다른 관점을 자신의 사고에 대한 도전 자극으로 받아들여 다양한 관점을 다룰 좋은 기회를 얻게 된다. 
 아동은 성인과 질적으로 다르게 사고하기 때문에 아동의 인지발달 수준 또는 단계를 확인하여 이들의 흥미와 학습양식에 적합한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여 가르쳐야 한다. 예를 들어, 구체적 조작기에 속하는 아동의 사고는 구체적인 대상과 활동에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아동에게 수를 가르칠 경우에는 도표를 그리거나 강의를 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 대상물을 이용하여 아동이 수를 헤아려 보거나 더하기와 빼기를 해 보는 등의 활동을 하도록 해야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