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교육 심리(5) 비고츠키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이론-근접발달영역

by 북코스타 2023. 2. 22.

3. 비고츠키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이론

 비고츠키 Vygotsky(1896~1934)는 러시아의 심리학자로서 그의 사회문화적 이론의 기초는 '사고와 언어'에 제시되어 있으며, 1930년과 1935년 사이에 출간된 다양한 연구는 ‘Mind in Society’라는 제목으로 영어로 출판되어 미국에 소개되었지만 주목받지 못하였다. 그의 이론은 1980년대에 들어와서 심리학 문헌에 소개되기 시작하였고, 오늘날 아동심리학과 교육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비고츠키 Vygotsky는 인간의 인지발달이 사회적·문화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고 본다. 따라서 그의 이론을 사회문화적 인지이론이라 한다. 그는 지식이란 사회집단의 역사를 통해 누적된 문화적 형태로 존재하며, 이 사회문화적 의미는 학습을 통해 아동에게 내면화된다고 본다.

 비고츠키 Vygotsky는 내면화를 외적 조작의 내적 재구성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외부의 역사적 축적물인 지식을 아동이 유능한 타인의 도움을 받는 개인 간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 내 작용, 즉 내적으로 흡수하여 자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내면화의 개념은 비고츠키 Vygotsky 인지발달 이론의 근간이 된다. 내면화에서 언어는 외적 활동과 내적 활동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한다. , 비고츠키 Vygotsky는 내면화의 개인 간 상호작용 과정에서 언어적 대화를 가장 중요한 도구로 보고 있으며, 아동의 언어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은 곧 아동의 사고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으로 간주한다.

 학습과 발달의 관계에서 볼 때, 인지발달의 범위 내에서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피아제 Piaget의 입장과 달리 비고츠키 Vygotsky는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기 위해서는 발달이 전제되는 경우도 있겠지만 학습이 발달을 주도한다고 본다.

 아동의 인지발달이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유능한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비고츠키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이론은 교사나 부모와 같은 성인 또는 보다 유능한 또래가 아동의 인지발달을 적극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1) 근접발달영역

 아동의 인지발달, 즉 개인 간 정신 기능이 개인 내 정신 기능으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아동이 현재 수준에서 해결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나은 수준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이끌어 주는 것이 목적이라면, 비고츠키 Vygotsky는 타인이 도와줌으로써 가능할 것이라 보고 발달과 학습에 관한 새로운 접근방식인 근접발달영역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근접발달영역이란 아동이 혼자 힘으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제적 또는 현재의 발달 수준과 성인이나 보다 유능한 또래의 도움으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적 발달 수준의 차이를 말한다. 실제적 발달 수준은 이미 성숙한 기능, 즉 발달의 결과로써 아동이 타인의 도움 없이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준을 의미한다. 반면, 잠재적 발달 수준은 지식이 보다 풍부한 교사, 부모나 또래의 도움을 받아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을 의미한다. 따라서 근접발달영역은 현재 성숙하지는 않았지만 과정에 있고 가까운 미래에 성숙할 수 있는 영역으로, 발달의 열매가 아닌 이나 의 상태에 있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근접발달영역 개념은 학습과 인지발달이 이루어지는 역동적인 영역으로 발달의 내적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영역이다. 또한 이는 성인의 도움으로 아동의 발달 수준을 향상하게 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교사에 의한 교육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비고츠키 Vygotsky에 의하면, 근접발달영역은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더 높은 수준의 사고와 지식을 획득함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화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실제적 발달 수준과 잠재적 발달 수준 사이의 영역이 계속해서 연결되어 변화하는 것을 발달로 보기 때문에, 어제의 잠재적 발달 수준이 내일의 실제적 발달 수준이 되고 그에 따라 근접발달영역이 새로운 근접발달영역으로 나아가면서 한 단계 더 높은 수준으로 발달하게 되는 것이다.

 GallimoreTharp(1990)에 의하면, 근접발달영역을 통해 발달이 이루어지는 과정은 유능한 타인의 도움을 받아 과제를 수행하는 1단계, 자기 자신의 도움으로 과제를 수행하는 2단계, 과제 수행 능력이 완전히 발달하여 내면화·자동화·화석화되는 3단계, 수행이 탈자동화됨으로써 근접발달영역으로 회귀 되는 4단계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이 과정은 직선적인 과정이 아닌 순환적인 과정으로 보아야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