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사회성 발달
사회성이란 사회적 상호작용 과정에서 타인과 관계를 맺고 그들의 주의나 인정받고자 하는 개인의 자발적 의지를 말한다. 사회성 발달은 개인과 다른 사람의 관계에 관한 것으로, 개인이 태어나면서부터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가정과 사회 내에서 타인과 어떻게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적응할 수 있는지에 관한 과정을 다루는 발달의 또 다른 측면이다. 여기서는 사회성 발달에 관한 내용 중 애착과 또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1) 애착
애착은 개인이 자신과 가장 가까운 사람에 대해 느끼는 강한 정서적 유대 관계를 의미하는데, 일반적으로 영아는 양육자인 어머니를 통해 애착을 형성한다. 영아는 애착이 형성된 특정인과 가까이 있고 싶은 욕구를 가지며, 애착 대상과 함께 있을 때 즐겁고 편안함을 느낀다.
개인의 사회성 발달은 생의 초기인 출생 후 1년 이내에 영아와 양육자 간에 이루어지는 애착 형성에서 시작된다. 이러한 애착은 아동기는 물론 성인기까지 대인관계와 정서적 안정성에 지속해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1) 애착 유형
영아의 애착 유형은 양육자와 영아 간의 상호작용 양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첫째, 안정 애착 유형으로 영아는 낯선 상황에서도 어머니만 있으면 낯선 사람과 잘 지내고, 낯선 장난감을 가지고 잘 놀거나 주변을 탐색하기 위해 어머니와 쉽게 떨어지며, 어머니가 떠났다가 다시 돌아오면 반갑게 맞이하고 매우 즐거워한다. 낯선 사람과도 잘 지내지만 낯선 사람보다는 어머니를 확실하게 더 좋아한다.
둘째, 불안-회피 애착 유형으로, 영아는 어머니가 방에 있을 때도 별로 관심을 가지지 않고, 어머니가 방을 떠나는 경우에도 동요하지 않으며, 어머니가 다시 돌아와도 무시하거나 회피할 뿐 아니라 안아주어도 확실하게 안기지 않는다. 낯선 사람에게 다소 사회적이기도 하지만, 때로는 어머니에게 하는 것과 동일하게 무시하거나 회피할 수도 있다.
셋째, 불안-저항 애착 유형으로, 어머니와 함께 있어도 불안해하지만 어머니가 떠나면 극심하게 불안해한다. 그러나 어머니가 되돌아오면 회피 유형의 아동과 달리 어머니에게 접촉하기도 하지만, 어머니에게 안겼다가도 안정감을 찾지 못하고 화내고 밀어내는 이중적인 반응을 보인다. 저항 애착 유형의 아동은 어머니가 함께 있을 때도 낯선 사람을 매우 경계한다.
넷째, 비조직/비일관적 애착 유형으로 최근에 발견된 애착 유형이다. 양육자에 의해 학대받았던 경험 때문에 양육자에게 접근해야 할지 회피해야 할지 혼란스러워하며, 낯선 상황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으며 가장 불안정하다. 낯선 상황에서 방을 나갔던 어머니와 다시 만났을 때 이들은 멍하고 얼어붙은 듯이 행동하기도 하고, 어머니에게 접근하다가 어머니가 다가오면 갑자기 멀리 피하기도 한다. 또는 이 두 유형의 행동을 모두 보일 수도 있다.
(2) 애착 유형의 지속성과 영향
1세 이전에 형성된 애착 유형에 따른 행동 특성은 아동의 가족 환경이 변하지 않는 경우에는 장기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자와 긍정적인 애착 관계를 형성한 영아는 교사와 또래 간에도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애착은 아동기 사회성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
부모와의 애착 관계는 성인기의 사회적 적응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 애착 형성에 실패하거나 안정되지 못한 애착을 형성한 아동은 정서적 안정성은 물론 대인관계에서 실패할 가능성이 클 뿐 아니라 정신 병리적 문제까지 초래할 수 있다.
이처럼 아동 초기에 형성된 애착의 질이 어떻게 해서 성장한 후에도 지속적이며, 또 이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가에 대해서는 내적 작동 모델로 설명할 수 있다. 내적 작동 모델이란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인지적 표상으로, 영아는 이를 통해서 인간관계에 대한 기대를 형성한다. 영아는 양육자와 상호작용하는 중에 이러한 내적 작동 모델을 발달시키게 되는데, 양육자가 영아의 요구에 민감하고 적절하게 반응하면 영아는 타인에 대해 긍정적인 작동 모델을 발달시킨다. 그러나 양육자가 영아에게 민감하지 못하거나 무시하면 타인에 대해 부정적인 작동 모델을 발달시키게 된다. 또한 영아는 자기 자신에 대한 작동 모델도 발달시킨다. 양육자가 영아의 요구에 민감하고 적절하게 반응할 때 영아는 자신을 사랑받는 존재로 인식하여 긍정적 작동 모델을 발달시킨다. 반면에 영아가 보내는 신호를 양육자가 무시하거나 정확하게 알아차리지 못할 때 자신이 사랑받을 가치가 없는 존재라는 부정적인 작동 모델을 발달시킨다. 이러한 두 가지 모델, 즉 타인에 대한 작동 모델과 자신에 대한 작동 모델이 결합하여 영아가 양육자와 형성하는 애착의 질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생의 초기에 형성된 작동 모델은 지속된다.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 심리(12) 사회성 발달-또래 관계⓶ (0) | 2023.02.28 |
---|---|
교육 심리(11) 사회성 발달-또래 관계⓵ (0) | 2023.02.28 |
교육 심리(9) 에릭슨 Erikson의 성격 발달 이론-성격 발달 단계⓶ (0) | 2023.02.23 |
교육 심리(8) 에릭슨 Erikson의 성격 발달 이론-성격 발달 단계⓵ (0) | 2023.02.23 |
교육 심리(7) 성격 발달, 사회성 발달 및 도덕성 발달-서문, 에릭슨 Erikson의 성격 발달 이론 (0) | 2023.0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