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성격 발달 단계
(1) 신뢰감 대 불신감(Trust vs. Mistrust : 출생~1세)
아동이 1단계에서 극복해야 할 심리적 위기는 세상에 대한 신뢰감 형성이다. 이 시기에 양육자를 통해 기본적 욕구인 신체·심리적 욕구가 적절하게 충족된 아동은 신뢰감을 형성하여 자신의 주변 환경을 안전하고 기댈 수 있는 곳으로 인식하게 된다. 반대로 욕구 좌절로 인해 부정적인 경험이 많은 아동은 불신감을 가지게 되어 세상을 무섭고 믿을 수 없는 곳으로 생각하게 된다. 이 시기에 형성된 신뢰감 또는 불신감은 이후의 성격 발달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1단계의 신뢰감 형성은 개인의 성격 발달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에릭슨 Erikson은 이 시기에 자신의 욕구가 좌절되는 경험을 하지 않은 아동은 세상을 온전하게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아동이 원하는 모든 것이 충족되어 긍정적인 경험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따라서 자아가 건전하게 발달하기 위해 아동은 적절한 비율로 긍정적 경험과 부정적 경험을 할 수 있어야 한다.
(2) 자율감 대 수치감과 의심(Autonomy vs. Shame and Doubt : 2~3세)
이 단계의 아동은 신체·생리적 성숙에 의해 대소변 가리기, 옷 입기 및 음식 먹기와 같은 자기통제가 가능해지고, 지금까지의 의존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되면서 자율성에 대한 표현인 ‘내가 할 거야’ ‘안 해’ 등의 말을 많이 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러한 자기 통제나 독립심을 아동이 자율적으로 탐색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양육자에 의해 허용되는 과정에서 아동은 성공과 실패의 양극적 경험을 하게 된다. 이때 양육자에 의해 아동의 노력이 인정과 격려를 받게 되고, 자신감을 가지게 되면 자율감이 형성된다. 그러나 아동의 노력이 그 능력을 믿지 못하는 양육자에 의해 좌절되어 과잉보호를 받게 되거나 양육자가 아동의 실수를 참지 못하고 지나치게 간섭하는 경우에 아동은 자신감을 잃게 되어 수치심을 느끼게 된다.
(3) 주도성 대 죄의식(Initiative vs. Guilt : 4~5세)
이 단계의 아동은 자율성을 바탕으로 의도적으로 특정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목표를 세우고 활동을 계획하며, 이를 달성하고자 노력하는 주도적 행동을 하게 된다. 아동은 인지기술을 이용하여 또래와 경쟁적으로 놀이하기도 하고, 각종 상상 놀이를 통하여 자신의 소망이나 능력을 탐색하기도 한다. 또한 주변에 대한 호기심으로 끊임없이 질문을 하거나 장난감을 분해하기도 한다. 아동의 이러한 활동이 부모나 교사에 의해 허용되어 마음껏 탐색하고 실험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들이 아동의 흥미 있는 계획이나 활동에 동등한 자격으로 참여하고 도와준다면 아동의 자기 주도성은 확립된다. 그러나 부모나 교사가 아동의 주도적 활동을 귀찮아하거나 제한하고, 아동의 반응에 일관성이 없으며 아동의 행동을 처벌하는 경우에는 이들이 자신감을 잃는 것은 물론 나쁜 짓을 한다는 죄의식을 가지게 된다.
(4) 근면감 대 열등감(Industry vs. Inferiority : 6~11세)
이 단계는 초등학교 시기로서 지적 호기심과 지적 성취가 아동의 행동을 지배한다. 아동은 읽기, 쓰기, 셈하기 등의 인지 기술과 대인관계에 필요한 사회적 인지기술을 습득하도록 사회로부터 요구받는다. 근면감이란 이러한 기술을 노력과 인내를 통해 성실하게 습득하는 과정에서 발달하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아동은 주위 사람에게서 칭찬과 인정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보람과 성취감 등을 얻게 된다. 따라서 부모나 교사는 아동이 수행할 수 있는 과제를 주고, 이들이 과제를 잘 해낼 수 있도록 격려하고 인내해야 하며, 그 시도나 결과에 대해 인정하고 칭찬해 주어야 한다. 만일 아동의 노력이나 결과가 성공을 거두지 못하여 야단맞거나 조롱당하고 귀찮은 것으로 취급되면 아동은 열등감을 가지게 된다. 열등감을 느끼는 아동은 지적인 과업을 즐기지 못하고 자신에 대해 자부심을 가질 수 없기 때문에 부모나 교사는 이들이 작업을 완성하는 기쁨을 가질 수 있도록 기회를 주고 용기를 북돋아 주어야 한다.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 심리(10) 사회성 발달-애착 (0) | 2023.02.23 |
---|---|
교육 심리(9) 에릭슨 Erikson의 성격 발달 이론-성격 발달 단계⓶ (0) | 2023.02.23 |
교육 심리(7) 성격 발달, 사회성 발달 및 도덕성 발달-서문, 에릭슨 Erikson의 성격 발달 이론 (0) | 2023.02.23 |
교육 심리(6) 비고츠키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이론-비계설정, 혼잣말 (0) | 2023.02.22 |
교육 심리(5) 비고츠키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이론-근접발달영역 (0) | 2023.0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