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또래 관계의 발달
또래 간 상호작용은 생의 초기부터 나타나는데, 2세경이 되면 아동은 혼자 노는 것보다 또래와 함께 놀기를 좋아하게 된다. 2세 이후의 아동은 또래 상호작용이 급격히 증가하는데 성인보다 또래와의 접촉을 더 좋아한다. Ellis, Rogoff와 Cromer(1981)에 의하면 1~12세 아동의 경우 성인과 함께 있는 시간은 평균 15%지만, 또래와 같이 있는 시간은 46%나 되고, 혼자 있는 시간은 26%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5세 아동 시기는 주로 놀이를 통해 또래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 Parten(1932)은 아동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혼자 놀이와 병행 놀이는 줄어들고 연합 놀이와 협동 놀이가 증가한다고 하였다. 사회극 놀이는 협동 놀이의 한 형태로, 이 놀이를 통해 또래집단의 공동 목표를 성취하면서 동시에 참여 아동 자신이 맡은 역할을 수행한다. 아동은 이 과정에서 사회집단에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사회적 능력을 배운다.
초등학교 시기가 되면 아동은 또래 집단의 가치를 알게 된다. 이들은 집단의 고유 가치를 공유하고 규칙을 따르며 상호 협조하는 등 사회 조직이 어떻게 목표를 추구하는지를 학습할 뿐 아니라, 다른 사람의 기분이나 의도를 잘 파악하게 됨으로써 또래 간 의사소통도 보다 원활해진다.
(3) 또래 지위와 행동 특성
아동이 학교에 입학하게 되면 또래와 함께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면서 또래의 영향도 커지게 된다. 또래 관계에서 아동이 가지는 또래 지위는 대단히 중요하다. 또래 지위는 비슷한 나이의 또래 집단에서 개개인이 맺고 있는 일반적이고 광범위한 관계에 기초하며, 그 속에서 나타나는 아동의 사회적 지위를 말한다. 즉, 아동이 속한 집단의 구성원에게 일방적으로 수용 또는 거부되는 정도에 따라 나타나는 집단 내의 위치를 말한다. 또래 지위는 아동의 현재 상태와 이후의 사회적 적응 상태를 예측해 주는 지표로서 그 의의가 매우 크다.
또래 집단 내에서 아동의 또래 지위를 측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사회성 측정법이다. 사회성 측정 검사 자료를 분석해 보면 또래 지위는 인기 아동, 배척 아동, 무시 아동, 양면성 아동, 보통 아동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또래 지위별 행동 특성은 다음과 같다.
⓵인기 아동 : 인기 아동은 많은 아동에게 선호의 대상이 되는 아동이다. 이들은 사교적이고 협동적이며 사회적인 행동을 다양하게 한다. 또한 협동, 자기주장, 공감, 자기 조절 등의 사회적 행동을 잘한다.
⓶배척 아동 : 배척 아동은 다른 아동에게서 가장 싫어하는 아동으로 지목되는 아동이다. 이들은 부적절한 놀이를 하고 적대적인 언어를 사용하며, 또래를 배척하고 구타하는 등의 공격적인 행동을 취하고, 사회적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들은 규율을 어기는 행동을 자주 하고, 협동과 자기 조절 능력이 부족하며, 반항-불신적인 성향이 높다. 또한 반사회적이고 상황에 대한 적응력이 낮아서, 다른 아동과 사회적 관계를 원할 때 상대방의 활동을 방해하거나 간섭하며 시선을 끌기 위해 이상한 행동을 한다. 특히 이 유형의 아동은 이후에 일탈 행동, 반사회적 행동, 기타 여러 가지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⓷무시 아동 : 무시 아동은 다른 아동이 좋아하지도 싫어하지도 않는 아동이다. 무시 아동은 배척 아동처럼 또래 선호도는 낮으나 공격적인 행동은 하지 않으며, 또래와 상호작용을 적게 하고 주로 혼자 놀이를 한다. 이들은 자기주장과 공감 능력이 부족하고 고독감을 많이 느끼며, 비교적 말이 없고 비활동적이다.
⓸양면성 아동 : 양면성 아동은 어떤 아동은 매우 좋아하고, 또 어떤 아동은 매우 싫어하는 아동이다. 이들은 리더십을 발휘하기도 하고 수줍음이 적으며, 활동적이기도 하지만, 공격적인 놀이를 하고 적의가 있는 언어를 사용하며 놀이에서 또래를 제외하는 행동을 하는 등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⓹보통 아동 : 보통 아동은 중간 정도의 지위에 있는 아동으로서 다른 아동이 보통 정도로 좋아하는(또는 싫어하는) 아동이다. 이들은 초등학교 학생 중 약 1/3을 차지한다.
또래 지위는 한 번 형성되면 지속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또래 집단에서 배척된 경우는 상황이나 시간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은 배척 아동 자신이 또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는 일관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일단 또래 지위가 결정되고 나면 다른 아동이 이들에 대해 부정적인 지각을 함으로써 고착되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또래에게 한 번 배척되거나 무시되는 아동은 또래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사회적 능력을 습득하고 실행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지기 어려우므로 또래에게 더욱 심하게 거부되거나 고립되는 악순환을 거치게 된다.
또래 관계는 가족 관계 못지않게 아동에게 중요한 사회적 애착 관계다. 학교에서 또래 집단에게 무시되거나 거부당하는 아동은 학교생활에 일차적으로 적응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이후의 성인기까지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다.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 심리(14) 도덕성 발달-콜버그 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이론 (0) | 2023.03.02 |
---|---|
교육 심리(13) 도덕성 발달-피아제 Piaget의 도덕성 발달 이론 (0) | 2023.03.02 |
교육 심리(11) 사회성 발달-또래 관계⓵ (0) | 2023.02.28 |
교육 심리(10) 사회성 발달-애착 (0) | 2023.02.23 |
교육 심리(9) 에릭슨 Erikson의 성격 발달 이론-성격 발달 단계⓶ (0) | 2023.0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