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18

교육 심리(10) 사회성 발달-애착 2. 사회성 발달 사회성이란 사회적 상호작용 과정에서 타인과 관계를 맺고 그들의 주의나 인정받고자 하는 개인의 자발적 의지를 말한다. 사회성 발달은 개인과 다른 사람의 관계에 관한 것으로, 개인이 태어나면서부터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가정과 사회 내에서 타인과 어떻게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적응할 수 있는지에 관한 과정을 다루는 발달의 또 다른 측면이다. 여기서는 사회성 발달에 관한 내용 중 애착과 또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1) 애착 애착은 개인이 자신과 가장 가까운 사람에 대해 느끼는 강한 정서적 유대 관계를 의미하는데, 일반적으로 영아는 양육자인 어머니를 통해 애착을 형성한다. 영아는 애착이 형성된 특정인과 가까이 있고 싶은 욕구를 가지며, 애착 대상과 함께 있을 때 즐겁고 편안함을 느낀.. 2023. 2. 23.
교육 심리(9) 에릭슨 Erikson의 성격 발달 이론-성격 발달 단계⓶ 2) 성격 발달 단계 (5) 정체감 대 정체감 혼미(Identity vs. Role Confusion : 12~18세) 이 단계는 성인 사회에서 필요한 능력과 역할을 발달시키는 준비 기간으로, 주요한 발달 과업은 자아 정체감의 확립이다. 에릭슨 Erikson은 정체감의 개념에 대해 “최적의 정체감은 심리·사회적인 안녕감으로 경험되는 것이다. 이것의 가장 분명한 부수물은 신체적인 안정감 그리고 자신이 어디로 가고 있는지를 안다는 것과 상대방에게 인정받을 수 있다는 내적인 확신이다.”라고 하였다. 에릭슨 Erikson은 이 시기의 청년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자신의 존재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되고, 이를 풀기 위한 탐색을 통하여 자아 정체감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시도한다고 하였다. 또한 이들은 자아 정체감을.. 2023. 2. 23.
교육 심리(8) 에릭슨 Erikson의 성격 발달 이론-성격 발달 단계⓵ 2) 성격 발달 단계 (1) 신뢰감 대 불신감(Trust vs. Mistrust : 출생~1세) 아동이 1단계에서 극복해야 할 심리적 위기는 세상에 대한 신뢰감 형성이다. 이 시기에 양육자를 통해 기본적 욕구인 신체·심리적 욕구가 적절하게 충족된 아동은 신뢰감을 형성하여 자신의 주변 환경을 안전하고 기댈 수 있는 곳으로 인식하게 된다. 반대로 욕구 좌절로 인해 부정적인 경험이 많은 아동은 불신감을 가지게 되어 세상을 무섭고 믿을 수 없는 곳으로 생각하게 된다. 이 시기에 형성된 신뢰감 또는 불신감은 이후의 성격 발달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1단계의 신뢰감 형성은 개인의 성격 발달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에릭슨 Erikson은 이 시기에 자신의 욕구가 좌절되는 경험을 하지 않은 아동은 세상.. 2023. 2. 23.
교육 심리(7) 성격 발달, 사회성 발달 및 도덕성 발달-서문, 에릭슨 Erikson의 성격 발달 이론 0. 들어가며 학교 교육에서 유능한 학습자가 되도록 도와주기 위해 교사는 학습자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여야 한다. 즉, 학습자의 인지발달 외에 성격 발달, 사회성 발달 및 도덕성 발달 측면에 대해서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성격 발달은 개개인을 구분하여 주는 특성, 즉 개인만이 지니고 있는 지속적이고 독특한 특성을 습득하는 인간 발달의 과정을 다룬다. 이에 대해서는 인간의 성격 발달에 관해 가장 포괄적으로 다룬 이론가로 알려진 에릭슨 Erikson의 이론을 살펴볼 것이다. 사회성 발달은 개인이 사회적 존재로서 적응해 나가는 과정을 다루는 발달의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이다. 사회성 발달에서는 애착과 또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도덕성 발달은 자신과 타인의 행동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는 옳고 그름에 대.. 2023. 2. 23.